본문 바로가기
주식

ETF에 대해서

by 여행자디노 2023. 6. 16.

단순히 개인 공부용이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ETF를 딱히 좋아하진 않는다.

많은 증권사에서 ETF 의 장점만을 부각시키고 있고, 

많은 블로거나 유튜버도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정보에만 근거하여 같은 내용을 재생산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ETF 상품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확하게 알기도 쉽지않다.

 

 

주식은 49:51과 같은 아주 작은 승률차이를 만들고 반복시행으로 복리를 얻는게 주식 공부나 투자의 목적이라고 생각하는데.

ETF는 증권사에게 이윤을 남기기 위해 만들어졌고, 분석이 힘들 정도로 복잡한 수식으로 돌아가기에

대부분의 투자자는 이해하기 쉬운 장점만을 비교한 후에 투자 하는 듯하다.

 

80:20 정도 승률이 나오는 도박(주식시장)에서 5정도의 수수료를 딜러(증권사)에게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ETF는 충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49:51정도의 미세한 확률차이를 만들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다면, ETF는 그리 매력적이지 않을지도 모른다.

 

깊이 있게 공부해보지는 않았다. 조금만 공부해도 ETF투자는 나에게 맞지 않다는 걸 느꼈기때문이다.

ETF는 마치 소액주주를 무시하고 기업을 분할해서 기업가치가 중복되는 효과를 주는 것과 비슷해보인다.

 

물론 ETF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도 본인의 환경이 ETF투자에 적합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ETF를 공부하고 있는 이유

투자중인 회사가 ETF시장에 영향을 많이 받는 종목(kospi200)이다.

최근 유상증자를 통해 시총이 큰폭으로 상승했고,

유상증자 이전에도 시총대비 유통주식비율이 작은 편이 었는데 이번 유상증자로 유통주식비율이 더 작아졌다.

 

그럼 기계적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영향을 많이 받는게 아닐까?

영향을 받을 거 같긴한데 ETF를 모르니 어느정도의 효과가 있는지 궁금해 졌다.

그래서 ETF를 공부했지만 아직도 정확한 내용은 알수가 없다.

 

각 종목, ETF상품별 보유한 주식 수를 파악하고 싶어 여기저기 검색을 했다.

https://www.etfcheck.co.kr/

 

ETF CHECK

ETF CHECK 에서 국내외 상장되어 있는 ETF, ETN의 모든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www.etfcheck.co.kr

종목을 검색하면 각 상품별 추정 편입금액이 나온다.

 

상품별 편입금액과 시총의 증가 비율을 조합하면 ETF에서 어느정도의 비중을 늘릴지 알 수 있을까?

 

사실 그렇지는 않다.

  1. 위 사이트에서 나타나는 편입금액은 추정치라서 정확하지 않다.
  2. 상품별로 편입하는 기준이 다르다. 단순히 시가총액 가중 평균이라면 유추하기가 쉽지만 많은 복잡한 경우가 있다.
    1. 유동주식기준 편입
    2. 증권사에서 판단해서 종목별 편입비중을 달리하는 경우 등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 내기 위해 관련 ETF 상품에 대한 설명을 여러 차례 검토했지만 정확한 편입비중은 알 수가 없어 보였다.

 

ETF CHECK사이트 에서 편입비중이 가장 높다고 추정한 상품은 KODEX200 이다

https://www.samsungfund.com/etf/product/view.do?id=2ETF01 

 

KODEX 200 | Kodex

Kodex ETF 상품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www.samsungfund.com

 

순자산 6조에 편입 금액이 20억이 되지 않는다.

 

ETF CHECK 에서 추정했던 편입금액과 괴리가 너무 커서 삼성자산운용 카톡으로 문의를 해봤다.

질문한번에 10분의 딜레이를 주는 상담사라 많은 부분 확인 하진 못했다.

 

자산이 6조정도 되는데 편입금액이 20억이 안되 보이는데 혹시 표기에 오류가 있는 것인가?

"Kodex200 상품의 순자산 총액은 60,970억원이며, 투자구성종목(PDF)상 보유 주식의 당일 기준 평가금액은 1,719,223,310원으로 확인됩니다."

 

편입금액은 17억이 맞다고 한다.

뭔가 또다른 복잡한 수식에 의해서 돌아가는 건가 싶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시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결론은 "ETF에 영향을 많이 받는(kospi100 or 200) 종목이 유증으로 인해 급격한 시총 증가가 있을때 ETF 의 기계적인 매수로 인해 주가가 상승 하지 않을까?"라는 투자 아이디어에 대한 정확한 해답은 찾을수 없는 듯하다.

사실 정확한 편입 기준이 나와 있는 ETF상품이 존재 하는지도 모르겠다. 이부분도 ETF상품을 싫어하는 이유중하나다.

 

ETF에 그만 알아보기로 한다.

 

혹시나 ETF투자를 고려중이신 분들은 장점만을 설명한 글을 보지 마시고,

적어도 LP, 분배금, 보수, 편입종목 구성,편입종목 비율근거 정도는 공부해보는게 좋을 듯 하다.

 

 


- 추가 23.07.20

ETF 투자 설명서(https://www.samsungfund.com/etf/product/view.do?id=2ETF01)를 다시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뭐지? 

 

그리고 재무 상태표를 보면

지분증권 5조원.. 그럼 처음 아이디어였던 'ETF가 개별 주식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이 어느정도 가능한 것 같다.

 

질문에 오해소지가 있었는지 다시봐도 모르겠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리소비 변화에 대해  (0) 2023.06.19
폴란드 추가 대출에 대한 개인의견  (0) 2023.06.14
한화, 호주 방산업체 오스탈 인수 나선  (0) 2023.05.31
한화그룹 지분구조 #2  (0) 2023.05.26
한화그룹 지분구조  (1) 2023.05.25

댓글